A. 총회 교육주제
“주여 치유하게 하소서”
B. 교회 교육주제
“서로 사랑하는 교회”
2024년 중고등부 계획
I. 교육부서 주제
“주의 말씀으로 우릴 뜨겁게하소서”
Ⅱ. 주제말씀
“우리에게 말씀하시고 우리에게 성경을 풀어 주실 때에 우리 속에서 마음이 뜨겁지 아니하더냐 하고”
(눅 24:32)
Ⅲ. 교육목표
① 먼저 삼위일체 하나님을 제대로 알고 예수그리스만이 나의 구원자이시자 나의 생명이심을 믿음으로 고백한다.
② 나의 몸도 거룩한 성전(무형교회)이라는 것을 깨닫고 빛과 소금된 자녀로서 살아낸다.
③ 항상 뜨거운 마음으로 하나님의 일의 동참한다.
IV. 교육목회 중심영역
1. 레이투르기아 예배_어떤 예배인가?
① 예배를 통해 하나님과 인격적인 만남을 경험한다.
② 예배를 통하여 삼위일체 하나님과 본질의 대해 깊이 이해한다.
③ 하나님의 “계시”의 대한 신자의 “응답”으로써 마음을 다한다.
2. 케리그마 말씀선포_말씀의 핵심은 무엇인가? (교육내용)
① 인간의 공로가 아닌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은 자로서 점진적인 성화의 과정으로 살아간다.
② 학교나 가정에서나 어디서든지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간다.
③ 자기를 비우신(케노시스) 예수 그리스도처럼 우리도 나를 내려놓고 하나님의 중심으로 살아낸다.
3. 디다케 제자화 교육 훈련_지도자는 피교육자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교수-학습법)
① 설교자는 말씀을 묵상하고, 다양한 비평장치들로(Ex. 역사비평, 자료비평, 양식비평 등) 문학 장르를 파악하고, 플롯을 구체화하여 성경의 내러티브를 이끌어낸다. -준비과정-
② 교사 중심이 아니라 플립러닝!! 학습자들이 중심이 되어서 본인들이 어떤 주제의 대해 스스로 고민하고 토의를 나눈후 자신들이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깨닫는다.(하브루타 교육, 소크라테스 산파법 모델)
③ 다양한 시청각 자료들 에듀테크 방법론(ex. 비블리오 드라마, 패들렛, 멘티미터, 워드클라우드, 잼보드, 카훗 등)을 통하여 나의 생각을 열고 보다 더 쉽게 성경의 대해 깊이 이해를 한다.
④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3요소[로고스(Logos 말씀, 이성적 논리), 파토스(Pathos 감정적), 에토스(Ethos 화자의 고유한 성품)] 이 모든 것들이 잘 어우러진 커뮤니케이션으로 소통한다.
4. 코이노니아 교제 및 나눔_한 공동체로써 교제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① 찬양단을 통해 매주 마다 자신의 일상을 서로 나누고 공감해준다.
② 각 모임으로 함께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자연스럽게 하나라는 공동체 의식과 친밀감을 형성한다.
③ 교사위주로 된 주입식 교육보다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함께 참여하고 함께 이야기 나누면서 교제한다.
5. 디아코니아 봉사 및 섬김
① 섬김을 삶 속에서(ex. 학교, 가정 등) 실천한다.
② 할 수만 있으면 지역 사회기관과 연결하여 봉사활동을 실시한다.